책 리뷰/마스터링 이더리움 3

챕터 1 - 이더리움의 탄생

비트코인 기반 위에 구축 아니면 새로운 블록체인을 시작해야 하는 난제에 직면. 비트코인 기반 위에 구축하다는 건, 네트워크의 의도적인 제약 조건들을 전제한 상태에서 해결책을 찾아야 한다는 뜻. 제한된 트랜잭션 타입, 데이터 타입 및 데이터 스토리지 크기는 비트코인에서 직접 실행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종류를 제한하는 것처럼 보임. ※ 오프체인 계층 블록체인 네트워크 외부에 트랜잭션이 기록되는 것. 온체인에서 해결하지 못했던 확장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오프체인은 핵심 데이터만을 블록체인에 기록하는데, 이때 빠른 속도가 필요한 데이터는 블록체인이 아닌 디앱의 중앙 서버에 기록한다. 오프체인은 저렴한 수수료, 빠른 속도, 높은 트랜잭션 처리량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단점은 신뢰성의 문제다. ..

챕터 1 - 블록체인 구성요소

공개 블록체인의 구성요소 표준화된 가십('gossip')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참여자를 연결하고 트랜잭션 및 검증된 트랜잭션 블록을 연결하는 피어투피어 네트워크 가십(gossip) 프로토콜은 클러스터에 있는 노드 간에 정보를 공유하는 프로토콜이다. 마치 바이러스가 퍼지는 방식과 유사하게 동작하기 때문에 '전염병 프로토콜'(epidemic protocol)이라고도 불린다) 클러스터(cluster)는 같은 속성을 가진 대상을 여러 개 모아서 하나의 대상으로 만든 것이라는 의미이다. 상태 전이를 나타내는 트랜잭션 형식의 메세지 트랜잭션의 구성 요건과 트랜잭션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합의 규칙의 집합 합의 규칙에 따라 트랜잭션을 처리하는 상태머신 검증되고 적용된 모든 상태 전이의 장부 역할을 해줄 수 있는 암호학적으..

챕터 1 - 비트코인과 비교

개방형 블록체인과 많은 공통 요소는? - peer-to-peer 네트워크 : peer란 영어로 동료. 인터넷에 연결된 다수의 개별 사용자들이 중개 기관을 거치지 않고, 직접 데이터를 주고 받는 것을 말함. ( 기존 서버-클라이언트 방식의 데이터 전송과 본질적으로 다른 구조 ) 탈중앙화 - 상태 변경을 동기화 하는 비잔틴 결함 허용 합의 : 일부 참여자(노드)가 고장나거나 악의적으로 행동하더라도 계속 작동하도록 함. ( 해당 모델이 제대로 작동하기 위해서는 네트워크의 악성 노드 수가 시스템의 총 노드의 1/3과 같거나 초과할 수 없다고 가정한 상태에서 돌아감. ) 리더 노드가 백업 노드로 멀티 캐스트 후 클라이언트에게 응답. 그 중 하나가 악의적인 오류를 품고 있더라도, 동일한 결과를 보냄. 리더가 결함이..